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경제공부16

경제침체기 제일 좋은 투자처는 어디일까? 부동산, 주식, 코인 그리고 최근 스테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경제 기사가 늘고 있습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은 이전 글에서도 다뤘지만, 물가 지수는 상승하나 임금 상승은 동반되지 않아 전반적으로 소비자들의 지불 부담(원자재, 금리 등 포함)이 늘어 경제 침체로 접어드는 현상을 뜻하는데요. 이러한 스테그플레이션이 장기화 될 시 경기침체기로 이어질 수 있는데요. 역사적으로 경기침체기는 1990년대 후반~2000년대에 총 3번 있었습니다. 97년~98년 외환위기 IMF 2000년~2001년 닷컴버블, 911 테러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리먼 (10년) 경기 침체기로 접어 들기 전, 세계적인 현상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졌었는데요. 먼저 1)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긴축 정책으로 고금리가 유지되었다는 것 2) 전쟁이 터졌다는 것 3) 유가 및.. 2022. 7. 8.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은 어떤 관계일까?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의 관계 최근 미연준은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미연준의 이러한 단호함은 그만큼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저금리 시대를 지나면서 사람들은 빚을 내 주식, 부동산, 코인 등의 자산을 샀습니다. 이렇게 시장에 돈이 풀리게 되니 자연스레 물가는 상승하게 되었는데요. 너도나도 돈이 많아 자산을 구매하다 보니 자산의 가격이 상승하고, 구매력이 높아져 명품 등의 사치품의 수요도 급격하게 늘어나는 현상을 보였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다 보니 물가가 상승하게 되고, 물가 상승으로 인한 경제 불균형이 생기면서 인플레이션이 장기화 되었습니다. 그리고 최근 미연준은 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파격적으로 올리는 스텝을 보여주.. 2022. 6. 16.
CPI(소비자물가지수)는 주식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CPI란? CPI(Consumer Price Index) CPI는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를 의미합니다. CPI는 주식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최근 미국에서는 CPI 지수가 41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는데요. 오늘의 주제는 바로 이 CPI의 의미입니다. CPI가 올라가면 주식 시장은 어떤 영향을 받게 될까요? 물가지수는 말그대로 '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의 변동'을 의미합니다. 공급받는 소비재, 서비스에 대해 지급하는 가격의 움직임인 것이죠. 그렇다면 이러한 물가지수가 최고치를 경신했다는 것은 무슨뜻일까요? 우리가 물건과 서비스에 지불해야 하는 금액이 높아졌다는 말입니다. 당장 매일 소비해야 하는 점심값, 커피값은 물론, 건축 원자재비 등 사회의 전반적인 물가가 상승한 것이죠. 이처럼 물가지수가 지속적으.. 2022. 6. 13.
미(美) 연준 금리 인상 발표, 긴축 시대에 집값은 하락할까? 긴축 : 바짝 줄이거나 조임 재정의 기초를 다지기 위하여 지출을 줄임 미국 연준이 금리 인상을 발표했습니다. 2년에 걸쳐 10번~11번의 금리 인상을 예고했는데요. 이러한 금리 인상 발표 소식에 국내 집값에 대한 여러 전망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거에 금리 인상 시, 국내 집값은 어떤 움직임을 보여줬을까요? 단순하게 대출 이자가 늘어나니 집값은 하락할 것이라 생각하기 쉽습니다. 저 역시 그랬고요. 그러나 과거의 집값 추이 그래프를 보면 그렇게 단순한 이야기가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보시다시피 대부분 금리 인상에 따라 집값도 상승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금리 인상 시 집값이 안정화 된 것은 1994년~1996년도, 단 한 번 밖에 없어요. 이 그래프를 통해 우리는 금리 인상은 부동산 .. 2022. 3.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