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84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은 어떤 관계일까?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의 관계 최근 미연준은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미연준의 이러한 단호함은 그만큼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저금리 시대를 지나면서 사람들은 빚을 내 주식, 부동산, 코인 등의 자산을 샀습니다. 이렇게 시장에 돈이 풀리게 되니 자연스레 물가는 상승하게 되었는데요. 너도나도 돈이 많아 자산을 구매하다 보니 자산의 가격이 상승하고, 구매력이 높아져 명품 등의 사치품의 수요도 급격하게 늘어나는 현상을 보였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다 보니 물가가 상승하게 되고, 물가 상승으로 인한 경제 불균형이 생기면서 인플레이션이 장기화 되었습니다. 그리고 최근 미연준은 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파격적으로 올리는 스텝을 보여주.. 2022. 6. 16.
새로 배운 투자에 대한 통찰 최근 주식 투자 모임에 나가면서 이것저것 주워들은 게 많아졌다. 그러나 정보를 많이 아는 것보다 중요한 건 그 정보를 어떻게 취합하느냐, 취합된 정보를 바탕으로 어떤 통찰을 내놓느냐인 거 같다. 최근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서 주식 시장에 대한 이런저런 이야기가 많은데, 내 나름대로의 생각을 정리하며 투자 방향성을 정하고 통찰해 보려 한다. 1. 공포에 사고 환희에 팔아라. 꽤나 유명한 격언이다. 이 말에 의하면 요즘 주식 시장은 공포에 가까운 하락장이 맞는 거 같다. 아직 제대로 된 공포장은 오지 않았다는 의견도 많은데, 개인적으로 이 정도면 싼 가격에 주식을 모아갈만 한 시점인 듯 하다. 2. 지금 형성된 주가는 이미 악재가 반영된 가격 (선반영) 인플레이션이 장기화 되고, 미국 연준은 계속해서 금리 인.. 2022. 6. 15.
주식 투자 시 시가총액을 봐야 하는 이유 (뜻과 의미) 시가총액이란? 주식 투자 시 흔히 시가총액을 보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그렇다면 이 시가총액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시가총액 = 주가 X 총 주식 수 (2022. 06. 15 기준)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알아주는 대기업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361조입니다. 삼성전자의 국내 라이벌이자, 반도체 시장의 2위 기업인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은 71조이고요. 국내 IT 선두그룹 네이버의 시총은 40조, 카카오의 시총은 32조입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카카오 네이버 361조 71조 32조 40조 그렇다면 해외기업은 어떨까요? 구글은 951조, 애플은 2,775조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361조고요. 테슬라는 886조인데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테슬라 2,775조 2,361조 951조 886조 중요한 건 .. 2022. 6. 15.
CPI(소비자물가지수)는 주식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CPI란? CPI(Consumer Price Index) CPI는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를 의미합니다. CPI는 주식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최근 미국에서는 CPI 지수가 41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는데요. 오늘의 주제는 바로 이 CPI의 의미입니다. CPI가 올라가면 주식 시장은 어떤 영향을 받게 될까요? 물가지수는 말그대로 '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의 변동'을 의미합니다. 공급받는 소비재, 서비스에 대해 지급하는 가격의 움직임인 것이죠. 그렇다면 이러한 물가지수가 최고치를 경신했다는 것은 무슨뜻일까요? 우리가 물건과 서비스에 지불해야 하는 금액이 높아졌다는 말입니다. 당장 매일 소비해야 하는 점심값, 커피값은 물론, 건축 원자재비 등 사회의 전반적인 물가가 상승한 것이죠. 이처럼 물가지수가 지속적으.. 2022. 6. 13.
반응형